본문 바로가기

KIST Talk/사내직원기자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구멍송송 열전효율 탁! 나노매쉬 열전발전(오진우 기자)

열전 재료는 온도의 차이를 전류의 흐름으로 바꿀 수 있는 재료를 의미합니다. 이 열전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한 열전발전기는 열에너지를 터빈과 같은 다른 기기를 통하지 않고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고, 다양한 폐열(waste heat)을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최근 각광받고 있는 분야입니다.

<그림 1> 열전 재료는 온도 차이에 의해 전압 차이를 가져오는 재료입니다. 즉, 전기를 만들 수 있는 재료입니다.<그림 1> 열전 재료는 온도 차이에 의해 전압 차이를 가져오는 재료입니다. 즉, 전기를 만들 수 있는 재료입니다.

 

일반적으로 열전재료로 사용되는 물질은 밴드갭을 가지고 있는 반도체재료입니다. 반도체 재료는 효율은 높지만 매우 딱딱하고 전기전도도가 낮으며 가격이 매우 비쌉니다. 따라서 반도체재료는 몸에 부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열전발전기로 사용하기에 제약이 있습니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유연하고 늘어날 수 있는 열전소자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PEDOT:PSS 라는 전도성 고분자와 같은 물질이 좋은 열전 성능을 가진다고 보고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분자 물질의 낮은 제벡계수 때문에 상용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후보군으로는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과 같은 탄소나노재료가 있습니다. 탄소나노재료는 다른 유기재료에 비해 월등히 높은 기계적 물성, 유연성, 전기전도도 등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그래핀이나 탄소나노튜브를 열전 소자로 사용할 수 있다면, 사람의 체온을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는 웨어러블 열전 발전기 등에 적용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림 2> 열전재료로 사용되는 세라믹은 낮은 전기전도도와 딱딱한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유기물질은 세라믹에 비해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고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탄소나노재료의 경우 매우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전기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기열전재료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전하이브리드센터의 손정곤, 김희숙 박사님 팀은 반도체 물질이 아닌 그래핀을 열전 재료로 사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래핀을 열전재료로 사용하는 것에는 큰 문제점이 있습니다. 바로 열전 성능인 제벡계수가 낮다는 점과 열전도도가 매우 높다는 점입니다. 그래핀의 제벡계수가 매우 낮은 이유는 그 안의 전자 밀도가 높기 때문이며 같은 이유로 열전도도 또한 높습니다, 손정곤 박사님 팀의 오진우 학생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래핀을 나노사이즈로 패턴하였습니다.

<그림 3> 열전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그래핀은 높은 전기전도도를 유지한 채, 전자밀도와 열전도도를 낮추어야 합니다.
오진우 학생은 원자 1개 두께를 가지는 그래핀을 나노패턴하기 위해서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를 이용하였습니다.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면 10나노 이하의 복잡한 패턴을 매우 간단하고 빠른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오진우 학생은 이것을 이용하여 그래핀으로 나노메쉬(나노 사이즈의 체 형태)를 제작하였습니다.

<그림 4>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패터닝은 블록공중합체가 친수성-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매우 특이한 현상입니다. 이 현상을 이용하면 복잡한 패턴까지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핀이 나노메쉬가 된다면 열전도도가 급격히 감소하는데 열 전달 매개체인 포논(phonon)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래핀 나노메쉬는 밴드차이가 커지며, 따라서 전자밀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즉 앞서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낮은 제벡계수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열전 성능을 높이는 것입니다.

<그림 5> 물질이 나노사이즈가 되었을 때 물질의 성질은 완전히 바뀌게 됩니다. 2 차원 물질인 그래핀이 메쉬가 되면 1차원 물질인 그래핀 나노리본과 비슷한 형태가 되며, 특징 또한 크게 바뀌게 됩니다.
해당 연구에서 오진우 연구원은 기존의 그래핀에 비해 최대 40배 좋은 제벡계수를 가지고, 열전도도 역시 기존 대비 30배 이상 낮은 그래핀 나노메쉬를 제작하여 열전소자로서의 한계점을 극복하였습니다.

<그림 6> 40배 이상 좋은 제벡계수를 가지며 30배 이상 낮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그래핀 나노메쉬의 모습입니다. 사이즈 조절 등을 통해 높은 성능을 가지는 그래핀 나노메쉬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의 단일 재료로는 열전발전기를 제작할 수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다른 유기재료 혹은 무기재료와의 복합체를 제작한다면 유연한 웨어러블 열전발전의 가능성을 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