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racle KIST

"상위1%? 연구시작 빨랐을 뿐…新 아이디어 계속 도전"



[인터뷰]권익찬 의공학연구소장, 3년 연속 세계 상위 1% 연구자 선정

남들 안가는 길 고민 ‘테라그노시스’ 연구 시작

“암치료, 선택적 약물 활성화로 맞춤형 의료 구현”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를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계획대로 안 될 때도 많지요. 하지만 연구자들의 만남, 그리고 열띤 토론 속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계속 나오니 안 되란 법은 없다고 봅니다. 앞으로도 좋은 아이디어들을 발굴하고 연구자들과 공유하며 연구할 것입니다. 그러다 보면 남들보다 조금 더 트렌드를 먼저 읽을 수 있지 않을까요."

 

지난 10월 중순,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만난 권익찬 의공학연구소장은 인터뷰 내내 겸손함을 느끼게 했다. 2006년 '테라그노시스(Therapy(치료)+Diagnosis(진단))'개념을 처음 정립 후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한 그는 2009년 테라그노시스연구단을 발족시켜 활발한 연구활동을 펼치는 등 국내 선두연구그룹을 이끄는 수장이지만 말 한 마디 한 마디 신중함이 묻어났다.

 

그런 그가 최근 국내 뿐 아니라 세계에서도 주목받는 '세계 상위 1% 연구자'로 선정됐다. 톰슨로이터가 2004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총 21개 분야 논문을 분석한 가운데 전 세계에서 '논문의 피인용 횟수가 많은 연구자' 3200여 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권 소장은 KIST 김광명 박사와 함께 국내 연구자 중 출연연에서 유일하게 3년 연속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톰슨로이터는 웹오브 사이언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매년 전 세계연구자들이 발표한 논문들의 피인용 횟수를 전 학문분야에 걸쳐 조사한다. 매년 세계 수준의 연구력을 인정받는 상위 1%이내 속한 연구자들이 명단을 올리는 만큼 '노벨상에 근접한 연구자들'이라는 평을 받는다.

 

이같은 소식에 권 소장은 "테라그노시스를 남들보다 조금 일찍 연구해서 학회에서 알리고 연구했던 덕분"이라 담담하게 말했다. 오히려 그는 동료들과 의견을 나누며 더 좋은 아이디어를 찾아 연구해 나갈 것을 더 강조했다.



테라그노시스 연구 '뭘 해야할까' 고민으로부터​


'인류가 건강한 삶을 더 오래 유지하는 길을 찾고 있습니다.'

 

의공학연구소의 미션은 인류가 건강한 삶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다. 연구소에 소속된 ▲바이오닉스연구단 ▲생체재료연구단 ▲테라그노시스연구단은 노인과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인지·운동 재활기술을 개발하고 인체의 조직과 장기를 대체할 수 있는 장치와 기능소재, 미래 개인 맞춤의학 구현을 위한 질병 진단과 치료를 함께 수행하는 첨단 의료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권 소장이 연구하는 '테라그노시스'란 질병을 조기 진단하고 치료를 동시에 수행하는 진단·치료기술이다. 환자가 약을 복용했을 때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치료가 잘 진행되고 있는지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암과 류마티스 등 질병의 유무를 진단하고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

 

권 소장이 테라그노시스 연구를 시작한 것은 200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빠르게 늘어나고 분열하는 암세포를 죽이기 위한 항암제가 일부 정상세포까지 빠르게 증식시켜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원하는 세포만 선택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 분자영상을 접하게 됐다. 분자영상은 치료가 아닌 생물학적 과정을 생체 내에서 영상화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고 정량화하는 분야를 말한다.


당시 KIST 의과학연구센터도 새로운 미래 먹을거리를 위한 내부회의가 계속 진행됐었다. 연구자들은 최종 논의 끝에 분자영상을 연구하기로 결정, 권익찬 소장이 연구를 주도하는 역할을 맡게 됐다.

 

2006년 권 소장은 분자영상 첫 페이퍼를 도출했다. 미국보다 10년 늦은 시작, 첫 페이퍼는 기쁜 성과였지만 그는 "하버드대학, 스텐포드대학도 관련연구를 하고 있는데 우린 뭘 해야 할까가 고민이었다"고 말했다.

 

고민 끝에 치료와 분자영상을 합치는 새로운 개념을 시작했다. 두 가지를 융합해 선도하는 세계적 그룹은 없었다.

 

그는 "우리 몸의 어느 부위에 질병이 있다는 것을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정확하게 원하는 부위를 치료할 수 있다는 것과 같다"며 "엑스레이라면 암이 어느 부위에 얼만한 크기로 위치해 있다는 것 밖에 모르지만 테라그노시스는 치료과정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A와 B 치료제 중 어떤 약이 환자에게 더 효과가 있는지, 암이 얼마나 줄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선택적 약물 활성화로 맞춤형 의료 구현할 것"

 

"좋은 연구성과는 운도 필요하거든요. 아무리 좋은 연구결과라도 때가 맞지 않으면 사장될 때가 많습니다. 테라그노시스연구를 처음 했다고 해서 계속 선도하라는 보장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논의하다보면 좋은 아이디어들이 많이 나오는 만큼 이를 바탕으로 꾸준히 연구하겠습니다."

 

그는 연구를 통해 지난해 기존 항암제를 특정 단백질과 합성해 독성을 줄인 항암물질을 개발했다. 김상윤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교수팀과 공동 연구한 것으로 개발한 물질을 체내에 주사하고 약한 방사선을 쪼이면 체내의 다른 세포를 파괴하지 않고 암세포만 파괴해 죽이는 것이 가능하다.

 

항암제의 효과가 암세포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기존의 항암제가 가지고 있던 부작용을 현저히 낮춘 항암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로 그는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 중이다.

 

앞으로도 권 소장은 관련연구를 꾸준히 진행 할 계획이다. 그는 "환자의 유전적 정보를 분석해 적합한 약을 골라 치료하는 연구와는 달리 약물 자체가 암의 활동성을 보고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항암제를 개발할 것이다. 이를 통한 맞춤형의료를 구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과거에는 분자영상과 나노의학분야로 나눠져 있었다면 최근에는 분야의 경계 없이 많은 연구자들이 진단과 치료 연구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연구소에서 진행하는 많은 연구 중 가장 가능성 있는 연구가 무엇이냐고 묻자 그는 "모든 연구에 가능성을 두고 있다"고 답했다. 지금 하고 있는 연구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인것처럼.



권 소장은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를 하는 것은 쉽지 않을 뿐더러 계획대로 안될 때도 있지만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정말 좋은 아이디어와 이야기가 나온다"며 "괜찮은 폭탄은 잘 가지고 있다가 후배들에게 공유하며 연구계획을 세운다. 가능성이 있느냐 없느냐가 아닌 모든 가능성을 둔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있다면 도전해 보는 등 꾸준히 연구에 매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