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IST Talk/사내직원기자

[사회공헌활동] 나눔과 섬김의 이웃사랑 실천, 밥퍼! (정인숙 기자)

 

올해로 3년째다. 밥퍼나눔은 KIST에서 하는 봉사활동 중 강도가 꽤나 높은 활동이다. 출발도 다른 활동과는 달리 조금 이른 시간에 모여 출발한다.  하지만 봉사자들이 늦게 오면 어쩌나 하는 것은 괜한 걱정이다. 08:40분 국기게양대 앞. 한 명도 지각을 하지 않고 예정된 인원 모두가 시간 내에 도착하였다. 봉사자들을 태운 차량은 밥퍼나눔운동본부로 출발한다. 약 20분 후 청량리 굴다리 옆에 위치한 밥퍼나눔운동본부에 도착한다.

 

 

2층 강당에서 오리엔테이션이 진행된다. 사회는 조리장님이다. 밥퍼나눔은 1988년 11월 청량리 역에서 라면배식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이후 간단한 동영상 시청과 밥퍼나눔운동본부의 직원을 소개하고 조리장이 업무분장을 한다. 썰기(무엇이든 썬다), 대파 다듬기, 건파래 다듬기, 밥짓기, 밥솥 세척, 식기세척, 써빙, 숟가락 닦기, 밥 푸기, 국 푸기, 반찬 푸기. 배정은 선착순이다. 배정된 인원은 주황색의 밥퍼나눔 앞치마와 머릿수건을 착용하고 1층 주방과 식당으로 이동한다. 씻고, 썰고, 다듬고, 데치고. 전정훈 팀장은 눈이 매울 때는 양파를 입에 물고 하면 괜찮다는 이야기를 듣고 바로 시도해 본다. 하지만 너무 몰입한 나머지 본인의 손에 칼질을 했다. 그는 주방에서 열외가 되었다.

 

 

어르신들은 일찍부터 오셔서 자리를 잡고 앉아계셨지만 최일도 목사님은 일정상 부산출장 중이셔서 이번에 만날 수가 없었다. 10시 20분. 조리장이마이크를 들고 식당을 향해 인사를 한다. 늘 나오던 어떤 이의 소식을 전한다. 그는 몸이 않좋아 병원에 있다고 한다. 이어서 KIST의 유명희 박사가 간단한 인사를 한다. “KIST에서 드리는 작은 한끼지만 맛있게 드시고 건강 하시기를 바란다”불쑥 어르신 한 분이 연구소면 이번에 박사가 몇 명이 왔냐고 묻는다. “오늘 온 마흔명 중 서른은 다 박사에요.”이 말에 식당에 있던 어르신들이 고개를 끄떡 거린다.

 

 

배식 전 마지막 의식이 있다. 다일공동체 섬김의 5대원칙을 읽는 것.
“지금부터, 여기부터, 작은 것부터, 할 수 있는 것부터, 나부터 시작한다” 라고 큰 소리로 외친다.

 

식판에 밥과 반찬을 정성껏 담는다. 일렬로 쭈욱 늘어선 봉사자들의 손에서 손으로 식판이 전달된다. 하루에 한끼만 식사를 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어서 식사량이 상상 이상이다. 추가 배식대에도 보통 3~4회씩 다녀간다.  밥을 푸는데 손목이 시렸다. 아니 정말 손목이 시린건지 잘 모르겠다. 식사를 마치신 분들의 식판을 받아 잔반을 처리하는 팀도 바쁘다. 식사 후 나오시는 어르신들께는 귤과 물 한잔도 제공된다. 밥퍼 식당에는 입장할 때 품위유지비로 100원짜리 동전을 하나씩 내고 들어와야 한다. 엄연한 유료 식당이다. 본부에서는 그 돈도 모아서 재기부를 한다고 한다. 밥퍼라는 공간에 있는 모든 사람은 어떤 형식으로든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있다.

배식은 약 한시간 반 정도 진행되었다. 그제야 봉사자들도 점심식사를 한다. 밥맛이 꿀맛이다. 주방장님의 한마디. “모두 힘들고 기운이 없기 때문에 밥을 먹고 나서 일어설 때 숟가락을 놓는 반동으로 벌떡 일어서야지 그렇지 못하면 못 일어납니다.” 이제 마지막 뒷처리를 한다. 각자 맡은 자리에서 설거지며, 물청소, 바닥청소를 깔끔하게 마무리한다. 힘들고 지쳐 있지만 누구 하나 미루지 않고 열심히 하며, 표정들도 밝다. 오후 1시 30분경 정리가 마무리되었다. 단체사진 촬영시간이다. 구호는 조리장이 선창을 하고 봉사자가 따라한다. “KIST가 최고야!, 우리가 최고야!” 어려운 이웃들이 밥 굶지 않는 그 날까지 밥퍼는 계속된다. 이제 밝은 표정과 지친 몸을 버스에 싣고 KIST로 출발한다. 오늘도 모두 수고 많으셨습니다. KIST가 최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