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ience news

우울증 조절 새로운 유전자 찾았다(6.25)

한양대 손현 교수팀, '뉴리틴' 유전자 우울증 관여 규명
뉴리틴 부족하면 우울증 유발…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 만성스트레스를 경험하여 우울증이 유발된 흰쥐 대뇌에서 뉴리틴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2012 HelloDD.com

 

우울증을 조절하는 새로운 유전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손현 한양대 교수팀이 '뉴리틴 (neuritin)'이라는 유전자가 우울증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우울증은 연령과 성별의 차이 없이 널리 퍼져있는 정신병으로 만성질환까지 진행될 수 있는 질병이다. 뇌의 해마에 있는 신경세포의 기능과 구조가 위축되면 우울증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이러한 현상이 어떻게 우울증과 관련되는지, 우울증 치료제는 어떻게 약효를 나타내는지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손현 교수팀은 흰쥐의 우울증 모델을 대상으로 지난 4년간 행동 유형을 비롯한 분자기전을 연구한 결과 뇌의 해마 신경세포에서 '뉴리틴'이라는 유전자가 우울증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뉴리틴이 '신경돌기(neurite·신경세포에서 자극을 수용하고 자극을 전하는 돌기)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기능이 있다는 사실에 착안해 뉴리틴이 부족하면 우울증이 유발되고, 많이 만들어지면 우울증이 완화된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에 착수했다.

 

▲해마 신경세포에 뉴리틴 (AAV-Nrn)을 인위적으로 많이 발현하도록 
조절하면 신경돌기의 발달이 증가함을 볼 수 있다. 

ⓒ2012 HelloDD.com

 

연구팀은 흰쥐에 만성 스트레스로 우울증을 유발시킨 후 해부학적으로 검사한 결과 뉴리틴 유전자가 감소한 것을 확인했으며, 우울증이 유발된 흰쥐에 우울증 치료제인 fluoxetine을 투여한 후 뉴리틴 발현이 정상과 비슷하게 회복된다는 사실도 입증했다.

또 유전자 발현기술을 이용해 흰쥐의 해마에서 뉴리틴 발현을 증가시킨 결과 신경돌기의 발달과 시냅스(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지점) 돌기 밀도가 증가하면서 우울증이 완화되는 것을 행동검사를 통해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뉴리틴이 우울증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중요한 단백질임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것으로 신경기능과 정신질환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손 교수는 "신경세포의 활성도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뉴리틴이 우울증에 관여하고 있음을 밝혀 신경활성도와 우울증이 연계돼 있다는 새로운 연결고리를 찾아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 6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