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IST STORY/K-Research town(보도자료)

몽골 전통 약용식물 ‘피뿌리풀’로 탁월한 ‘상처치유’ 효과 입증(SFS융합연구단 노주원 단장) 기존 상처 치유제 원료(병풀) 대비 상처치유 효능이 뛰어난 피뿌리풀 발굴 향후 상처 치료용 천연물 신약 및 기능성 화장품 개발 기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 SFS융합연구단 노주원 박사 연구팀은 수 년간의 한-몽골 과학협력연구를 통해 몽골 전통약용식물 피뿌리풀 추출물로 부터 상처치유 효능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피뿌리풀 추출물의 활성성분 동정 및 이에 대한 상처치유 효능 분자기전을 최초로 규명한 것으로, 국제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2월 22일(한국시간)자 온라인 게재되었다. 몽골, 중국, 러시아에서 주로 자생하는 ‘피뿌리풀’은 항염증, 항암, 항균활성 등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었으며, 몽골 칭기즈 칸 시대에 병사 혹은 말의 창상.. 더보기
뇌파 맵(Map)으로 렘수면의 숨겨진 구조를 밝히다(치매DTC융합연구단 최지현 박사) 세계 최초로 실험용 쥐의 수면 중 뇌파 맵을 고해상도로 측정 수면이 부족한 상태의 렘(REM) 수면 시 뇌파에 미치는 영향 규명 인간은 평생의 1/3을 수면으로 보내지만, 왜 잠을 자는 지, 자는 동안 우리의 뇌에서는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특히 새벽에 주로 일어나는 렘수면동안의 뇌는 깨어있을 때의 뇌처럼 활발하게 두뇌활동이 벌어지지만, 그 기능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세계최초로 개발한 실험용 쥐의 고해상도 뇌파맵을 이용해서 미지의 영역인 렘수면의 비밀을 한 꺼풀 벗겼다. *렘(REM, Rapid Eye Movement) 수면 : 수면의 두 단계인 비렘수면 (non-REM 수면)과 렘수면 중 하나로, 안구의 빠.. 더보기
스마트 로봇 의족 개발을 위한 5대 기관 협약 체결 KIST, 중앙보훈병원, 서울대병원, 한국전기연구원, (주)인더스마트 MOU 체결 스마트 로봇 의족 개발을 위한 각 기관 실무진의 상호 업무 추진 토대 마련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과 중앙보훈병원(병원장 이정열), 서울대학교병원(병원장 서창석),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 박경엽), ㈜인더스마트(대표이사 강욱)은 3월 10일(금) 오전 11시 서울 강동구 중앙보훈병원에서 ‘스마트 로봇 의족’ 개발을 위한 각 기관 간 연구·개발 정보 및 인력 교류, 시설 및 장비의 공동 활용과 공동정책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 협약식을 체결했다. 이 협약에 따라 5개 기관은 각 기관 실무진의 상호업무 추진을 통해 의료기기 개발, 전문 인력 교류, 임상시험을 통한 스마트 로봇 의족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 더보기
신경 장애, 생체에 이식한 신경전극으로 치료한다(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이수현 박사)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나노섬유 기반의 생체이식형 신경전극 개발 신경장애 치료를 위한 신호 감지 및 제어시스템 연구에 기여 국내 연구진이 장기간 신경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안정하고 효율적인 생체이식형 신경전극 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중추·말초 신경계 질병 및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장애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신경전극 기반 신경신호 감지 및 제어 시스템 연구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 뇌과학연구소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이수현 박사팀은 경희대학교 치과재료학교실 권일근 교수팀,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도선희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스펀지 형태의 다공성 나노섬유구조체 표면에 은 나노 입자를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전사한 신경.. 더보기
흑린 나노 소재로 초고속 광학 스위치 구현한다(광전소재 송용원 박사) 흑린(Black Phosphorus) 소재의 광학적 비선형성 연구를 통한 새로운 발견 초고속 처리특성과 기존의 전자 소자와 호환 가능한 광학스위치 구현 그래핀의 발견 이후 2차원 소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흑린(Black Phosphorus)은 전자이동성이 우수하고 높은 비선형성*을 가져 차세대 광·전 융합소자 구현의 필수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이러한 흑린의 비선형성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초고속 광학스위칭 소자**를 개발하였다. * 광학적 비선형성 : 광학 매개체에 가해지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선형적 (1차 비례 관계)으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비선형적 (2차 이상의 관계)으로 규정 되어지는 특성이다. ** 비선형성이 높을수록 가해지는 작은.. 더보기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이온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고온에너지재료연구센터 손지원 박사) 초박막 BZY 전해질로 기존 연료전지 대비 10배 높은 성능 연료전지 사용 영역을 획기적으로 넓힐 것으로 기대 최근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이온 세라믹 연료전지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 고온에너지재료연구센터 손지원 박사팀과 고려대학교(총장 염재호) 기계공학과 심준형 교수 공동연구팀은 화학적,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이트륨*이 도핑된 바륨지르코네이트**(Y:BaZrO3, BZY) 전해질의 박막화에 성공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이온 세라믹 연료전지를 개발하였다. *이트륨: 원자번호 39번의 희토류(Rare earth) 원소 **바륨지르코네이트: 원자번호 56번의 바륨과 40번의 지르코늄 기반의 산화물 물질 연료전지***는 연료를 전기화학적으로 직접 전기로 변환하는 친.. 더보기
세포막 편집 기술로 질병 치료한다(테라그노시스연구단 김인산, 양유수 박사) 융합유도 엑소좀(Fusogenic Exosome)을 활용한 세포막 편집 플랫폼 구축 세계 최초 ‘세포막 편집‘ 기술개발로 다양한 질병 치료 가능성 기대 생체막(Biomembrane)*은 다양한 생명현상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필수적인 관문이며, 이러한 생명현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세포막 단백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많은 질병들은 막단백질(Transmembrane Protein)**의 결함, 손상과 관련이 있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결함이 있는 세포막에 원하는 단백질을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편집·교정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생체막(Biomembrane) : 생체 내의 물질 수송, 정보전달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각종 막을 총칭. **막단백질(Transmembrane Protein) : .. 더보기
내 몸의 GPS, 공간과 상황을 인지하는 장소 세포의 매커니즘 규명(기능커넥토믹스 세바스찬 로이어 박사) KIST 뇌과학연구소 외국인 유치과학자, 장소 세포의 공간적, 감각적 기능 규명 트레드밀 활용 쥐 실험을 통해 물체에 대한 장소세포의 활동 기록·관찰 뇌의 해마(hippocampus)는 우리가 경험하는 사건을 기억하는데 필수적인 뇌 영역이다. 해마에 있는 각 세포가 우리가 있는 특정위치를 암호화하기 때문에, ‘장소 세포’(place cell)라고 일컫는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내 몸 안의 GPS, 장소 세포에 대한 매커니즘을 규명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 뇌과학연구소 세바스쳔 로열 박사(Sebastien Royer)는 KU-KIST 학연프로그램을 통해 고려대학교(총장 염재호) 심리학과 최준식 교수팀과 공동으로 공간과 사건/상황을 인지하고 기억하는 장소 세포의 기작(매커니즘)을 규명.. 더보기
뇌 신경 회로망, 이제 실험실에서 배양한다(바이오마이크로 최낙원 박사, 치매DTC 허은미 박사) KIST 뇌과학연구소, 뇌 신경망 재구성을 위한 3차원 플랫폼 개발 3차원 체외 환경에서 뇌 안에 있는 해마 신경 회로망의 구조 및 기능을 구현 최근 국내 연구진이 많은 신경 회로망들이 복잡하게 연결된 뇌 조직을 실제 세포 배양에 쓰이는 생체재료(3차원 체외환경) 내에서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 뇌과학연구소 최낙원 박사, 허은미 박사 팀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콜라젠 섬유를 특정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콜라젠 내에서 신경세포를 3차원 배양할 때 세포 축삭*의 성장 방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축삭 : 신경 세포(뉴런)의 세포체에서 길게 뻗어나온 가지로, 활동 전위를 전달하는 역할을 함. 축색돌기, 축색이라고 함 본 공동 .. 더보기
KIST, 제51주년 개원기념식 개최 변화와 도전, 소통을 넘어 글로벌 연구기관으로 도약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은 개원 51주년을 맞아 2월 10일(금) 오전 11시부터 성북구 하월곡동 본원에서 주요 외빈과 임직원 등 약 40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51주년 개원기념식을 개최했다. 미래창조과학부 최양희 장관은 격려사(대독: 배재웅 연구성과혁신정책관)에서 “KIST가 새로운 50년의 역사를 써가고 우리나라 연구기관의 대표로서 연구와 연구문화를 선도해 나가는 역할을 충실히 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또한 오명환 KIST연우회장은 축사에서 “지난 반세기 우리나라 과학기술을 견인해 온 KIST가 도전적인 연구를 통해 향후 50년 후에도 세계적 연구기관으로 명성을 유지해줄 것”을 당부했다. 제51주년 개원기념식 부대행.. 더보기